01 조사요약


  • 조사대상의 휴대폰 번호나 이메일 주소를 확보 가능할 경우,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활용하여 조사에 참여하는 방식입니다.
  • 최근 스마트폰 보급율이 급증함에 따라 모바일 조사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.


02 온라인조사의 장점 


  • 외주업체 없이 자체 서버 구축 및 설문지 제작으로 신속한 착수 및 대응이 가능합니다.
  • 각 코드가 부여된 응답자별 고유 URL을 활용하여 발송하기 때문에 데이터 보존이 용이하며, 부득이한 조사 중단 후 재참여 시에도 종료한 화면에서 다시 참여 가능하여 응답률이 높습니다.

     *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경우, 참여자들의 조사 재참여 의지가 현저히 저하




 

온라인 조사(웹조사) 구축 및 진행 System

메인화면
웹 설문 참여
진행 확인
결과값 도출
  • 자체 인력 및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조사 서버 구축
  • 설문 문항 및 구성, 모든 전산 관련 통제를 자체 인력으로 소화하여 효율성 극대화
  • 이메일 또는 문자 발송을 통해 설문 참여 
  • URL을 전송하여 클릭 만으로 설문 참여 (전화 독려 병행)
  • 실시간으로 내부 PMS 서버를 활용하여 진행율 및 쿼터 확인
  • 할당 쿼터 완료 시 자동으로 해당 쿼터 조사 종료
  • 지점 별, 세부 문항별 점수와 통계자료를 실시간으로 지원



소규모 리서치 업체의 경우 대부분 웹조사는 외주업체 활용



기존 웹 조사 방식 (동일 URL 사용)

당사 웹 조사 방식 (개별 고유 URL 사용)

 조사 중단 후 재참여시 처음부터 시작
  • 본인 응답이 따로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재참여 시 문항의 처음부터 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 존재
  • 해결방안으로 자체 ID/PW 배부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불편

 조사 중단 후 재참여 시 중단된 곳부터 재시작
  • 개별 고유 URL의 경우 응답 즉시 서버에 저장이 되며, 진행률 또한 저장이 되어 중단 시점까지의 모든 응답 보관 가능
  • 재참여 시 고유 URL이기 때문에 중단 시점부터 재참여

 리스트 중 미응답자 확인 곤란
  • 동일 URL 사용의 경우 데이터에 응답자에 대한 정보가 있어 리스트 미응답자 확인을 위해서는 매번 데이터 확인 후 리스트와의 대조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어려움 존재

 고유 URL이 개별로 부여되어 참여율 관리 용이
  • 개별 고유 URL 관리로 응답자와 미응답자의 구분 용이 
  • 데이터 검증 시 최소한의 DQ로 리스트 일치 여부 확인 가능

URL 공유 시 조사 非대상자도 참여 가능
  • URL이 공통인 경우, URL 노출 시 조사 참여 대상자가 아닌 사람들도 조사에 참여할 수 있어 조사 신뢰성 저하

노출 위험도 적고 조사 非대상자 참여 제한 가능
  • URL이 개별 이메일로 발송되므로 URL 노출 위험이 적으며, 불가피하게 노출될 경우에도 공통URL에 비해 피해 최소화 가능
  • 추후 검증 과정에서 조사 참여 여부 확인을 통해 신뢰성 확보 용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