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렴도 조사


자체 온라인 서버 구축 및 조사 구축을 통해 다양한 기관의 청렴도 조사 및 국민권익위원회 청렴도 조사를 수행하며, 
기관별 특성에 알맞은 유연한 분석 및 안정적이고 보안이 철저한 조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


01 조사요약


  • 기관의 청렴수준과 부패유발 요인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하여 제공합니다.
  • 한국능률협회플러스는 국민권익위원회를 비롯한 다양한 공공기관의 청렴도 조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

02 조사개요


  • 외부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외부청렴도와 내부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내부청렴도, 정책고객 평가, 부패사건 발생현황 등 크게 4가지로 나뉘며, 이를 토대로 기관의 청렴도를 측정하고 향후 기관의 청렴도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게 됩니다.


03 청렴도 조사 종류

○ 외부 청렴도 조사

  • 공공기관의 대민∙대기관 업무를 경험한 국민(민원인/공직자)이 고객의 입장에서 경험 또는 인식한 청렴도 측정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외부고객 대상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모니터링 조사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내부직원 대상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모니터링 조사                  

○ 내부 청렴도 조사

  • 공공기관의 소속직원이 내부 고객의 입장에서 소속기관의 인사 또는 예산 등 내부 업무를 평가한 청렴도 측정

○ 정책고객평가

  • 전문가, 업무관계자, 지역민, 학부모 등 정책고객이 해당 공공기관의 정책 결정과정 및 업무전반을 평가한 청렴도 측정

○ 부패사건 발생현황

  • 실제 발생한 부패사건을 점수화



04 분석결과


  • 종합지수, 차원별 지수(부패지수/부패위험지수 등) 수준 및 추이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지표 수준을 파악하며, 응답자별 분석을 통해 조사결과의 활용성을 높입니다.
  • IPA 분석 및 레버리지 분석을 통해 개선우선순위 및 강약점 파악으로 조사결과의 활용성을 높입니다
  • 고위직 청렴도의 경우 평가직급별, 피평가자그룹별, 차원별 분석 등 으로 지수 및 개선사항을 도출합니다.
  • VOC(Voice of Customer)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원인 및 개선점을 발굴 합니다.

  • 업무 유형별, 사업별, 부처별 점수 순위화를 제공시, 표준편차 기준 상위권/중위권/하위권 구분, 또는 세부 유형별 상/하위권 구분 순위 등 다각도의 순위화